TCP 2

TCP VS UDP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전송계층 전송 계층이 필요한 이유? 네트워크(또는 인터넷)계층에서 라우터의 라우터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라우팅 정보가 잘못될 수도 있고 많은 라우터를 경유하는 도중에 라우터에 문제가 생기거나 패킷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로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3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지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이 3계층에서는 아무것도 해주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전송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송 계층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2가지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CS/네트워크 2022.10.19

TCP의 3 way handshake와 4 way handshake

TCP TCP는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하고 연결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을 하여 신뢰성을 구축해서 수신 여부를 확인하며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 가상 회선 패킷 교환 방식: 각 패킷에는 가상회선 식별자가 포함되며 모든 패킷을 전송하면 가상회선이 해제되고 패킷들은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방식 3 way handshake (= TCP 연결 성립 과정) TCP는 신뢰성을 확보할 때 '3-way handshake'라는 작업을 진행한다. SYN 단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ISN을 담아 SYN 세그먼트를 보낸다. (ISN은 새로운 TCP 연결의 첫 번째 세그먼트에 할당된 임의의 시퀀스 번호를 말하며(예시로 12010) 이는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SY..

CS/네트워크 2022.10.14